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통행료는 차량 유형과 주행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다양한 할인제도를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고속도로 통행료 산정 기준과 출퇴근 할인, 경차·전기차 할인, 화물차 심야 할인 등 각종 할인제도를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고속도로 통행료 산정 기준
고속도로 통행료는 기본 요금과 거리당 요금으로 산정됩니다.
1) 기본 요금
✅ 폐쇄식 요금소: 900원
✅ 개방식 요금소: 720원
2) 거리당 요금 (KM당 요금 기준)
차종 | KM당 요금(원) |
---|---|
소형차 | 44.3 |
중형차 | 45.2 |
대형차 | 47 |
대형화물차 | 62.9 |
특수화물차 | 74.4 |
경차 | 소형차의 50% 할인 |
차량 크기와 종류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며, 경차는 소형차 기준 50% 할인된 금액이 적용됩니다.
2.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제도
운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출퇴근 할인
✅ 대상 차량: 승용차, 승합차, 10톤 미만 2축 화물차 (하이패스 차량)
✅ 적용 거리: 진출입 요금소 간 거리 20km 미만
시간대 | 할인율 | 대상 차량 |
---|---|---|
오전 5시~7시 | 50% | 2.5톤 미만 화물차, 16인승 이하 승합차 |
오전 5시~9시 | 20% | 기타 대상 차량 |
오후 6시~8시 | 20% | 모든 차량 |
오후 8시~10시 | 50% | 2.5톤 미만 화물차, 16인승 이하 승합차 |
📌 유의사항
- 주말 및 공휴일은 적용되지 않음
- 경차, 전기차, 수소차는 출퇴근 할인 대상 제외
2) 경차 할인
✅ 대상 차량: 배기량 1,000cc 미만 & 길이 3.6m 이하, 너비 1.6m 이하, 높이 2.0m 이하
✅ 할인율: 50%
경차 할인 대상 차량:
- 모닝, 스파크, 레이, 캐스퍼, 라보, 다마스 등
📌 할인받는 방법
- 하이패스 영업소에서 차량 정보를 1종 소형 → 6종 경차로 변경 신청해야 함
- 신분증, 차량등록증, 하이패스 단말기, 전자카드 필요
📌 유의사항
- 민자 고속도로에서는 적용되지 않음
- 출퇴근 할인과 중복 적용되지 않음
3) 전기차·수소차 할인
✅ 대상 차량: 친환경 전기차 및 수소차
✅ 할인율: 50%
✅ 할인 기간: 2024년 12월 31일까지 (이후 연장 여부 미정)
📌 할인받는 방법
- 하이패스 전용 단말기를 부착해야 함
- 기존 하이패스 단말기 사용 시, 전기차·수소차 식별코드 입력 필수
- 하이패스 차로 이용 시 자동 할인 적용
📌 유의사항
- 민자 고속도로에서는 적용되지 않음
4) 화물차 심야 할인
✅ 대상 차량: 화물차 (야간 운행 장려 목적)
✅ 적용 시간: 오후 9시 ~ 다음날 오전 6시
심야 운행 비율 | 할인율 |
---|---|
70% 이상 | 50% |
20~70% | 30% |
📌 할인 기간: 2026년 12월 31일까지 연장 예정
📌 유의사항
- 과적 또는 적재불량 화물차는 연 2회 이상 적발 시 3개월, 연 3회 이상 시 6개월간 할인 제외
3.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제도 활용법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출퇴근 할인 → 매일 출퇴근하는 직장인
✅ 경차 할인 → 소형 경차를 운행하는 운전자
✅ 전기차·수소차 할인 → 친환경 차량 이용자
✅ 화물차 심야 할인 → 야간에 운행하는 화물차 운전자
각 할인제도마다 적용 조건이 다르므로, 본인의 차량과 이용 패턴에 맞는 할인제도를 미리 확인하고 등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고속도로 통행료는 차량 유형과 주행 거리에 따라 산정되며, 다양한 할인제도를 활용하면 운행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출퇴근 할인, 경차·전기차 할인, 화물차 심야 할인 등 자신의 운행 패턴에 맞는 할인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
꼭 필요한 할인제도를 신청하여 고속도로 이용 비용을 절약하고 더욱 경제적인 운행을 계획해 보세요!